맨위로가기

징비록 (드라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징비록》은 2015년 KBS에서 방영된 드라마로, 류성룡이 집필한 《징비록》을 바탕으로 임진왜란 발발 전부터 이순신이 전사한 노량 해전까지의 이야기를 다룬다. 김상중, 김태우가 주연을 맡았으며, 2014년 제작 발표회를 거쳐 경상북도 영주시에서 촬영되었다. 최고 시청률 13.8%를 기록했으며, 2015년 KBS 연기대상과 에이판 스타 어워즈에서 여러 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지연 시나리오 작품 - 크크섬의 비밀
    크크섬의 비밀은 서해안 무인도에 표류하게 된 일일쇼핑 구매부 직원들의 이야기를 그린 2008년 MBC 시트콤으로, 신성우, 김선경, 김광규, 윤상현, 이다희, 심형탁 등 다양한 배우들이 출연했으며 잦은 결방을 겪었다.
  • 정형수 시나리오 작품 - 떨리는 가슴
    《떨리는 가슴》은 2005년에 방영된 텔레비전 드라마로, 배종옥, 김창완, 배두나, 고아성 등이 출연하며 6개의 에피소드로 구성되었다.
  • 정형수 시나리오 작품 - 상도 (드라마)
    최인호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 드라마 상도는 2001년부터 2002년까지 MBC에서 방영된 50부작 드라마로, 조선 후기 거상 임상옥의 파란만장한 삶을 그린 이병훈 연출, 최완규, 정형수 극본의 작품이며 이재룡, 김현주, 정보석, 이순재 등이 출연했다.
  • 경상북도를 배경으로 한 작품 - 만세전
    《만세전》은 염상섭의 소설로, 일제강점기 도쿄 유학생인 '나'가 아내의 위독 소식을 듣고 귀국하는 과정에서 조선의 암울한 현실과 식민지 지식인의 무기력함을 묘사한다.
  • 경상북도를 배경으로 한 작품 - 구해줘 (드라마)
    구해줘는 2017년 OCN에서 방영된 드라마로, 아버지의 사업 실패 후 무지군으로 이사 온 임상미 가족이 사이비 종교 집단 구선원에 휘말리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옥택연, 서예지, 조성하, 우도환 등의 출연으로 그리고 있으며, 2019년에는 후속작 《구해줘 2》가 방영되었다.
징비록 (드라마)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드라마 징비록 포스터
드라마 징비록 포스터
원작류성룡 《징비록》
장르사극
제작
방송 채널KBS 1TV
제작사KBS 미디어
책임 프로듀서김형일
프로듀서김신일
연출김상휘
김영조
조연출김민경
한현희
박소연
극본정형수
정지연
해설김도현
방송
방송 기간2015년 2월 14일 ~ 2015년 8월 2일 (본방송)
2018년 4월 9일 ~ 2018년 7월 24일 (재방송)
방송 시간매주 주말 밤 9:40 ~ 10:30
방송 분량50분
방송 횟수50부작
화질HD 제작 · 방송
시청 등급15세 이상 시청가
출연
주연김상중
김태우
임동진
이재용
김혜은
김규철
김석훈
이광기
이정용
남성진
최철호
정태우
노영학
외부 링크
공식 웹사이트KBS 징비록 공식 웹사이트

2. 제작

2014년 6월 19일, KBS는 드라마 《징비록》 제작을 예고했고[7], 2015년 2월 5일 서울 여의도 63컨벤션센터 주니퍼룸에서 제작발표회가 열렸다.[8]

이날 KBS 조대현 사장은 재정 적자를 언급하며 "'징비록'도 사실 '정도전'에 바로 이어서 해야 하는데, 재정 때문에 반년을 건너뛰고 시작한다. 금년부터는 대하드라마를 쉬지 않고 하겠다"고 말했다.

류성룡선조가 주요 인물이며, 김상중김태우가 각각 주연 배우를 맡았다.[9]

각본은 MBC 드라마 상도, 다모 등의 각본을 담당한 정형수 작가와 KBS 대하드라마 정도전의 보조작가 정지연이 담당했다. 제작 초기에 백운철 작가가 징비록의 각본을 담당하기로 되어 있었으나[10] KBS와의 이견 차이로 하차하였다.

내레이션은 성우 김도현이 담당했다.

2015년 1월 경상북도 영주시에서 촬영이 진행되었다.

3. 등장인물

3. 1. 주요 인물


: 학자이자 실천과 실현의 결과를 중요시한 행정가였다. 임진왜란영의정에 오르고 4도 도체찰사[11]가 되어 당쟁과 전란 속에서 조선 조정을 총지휘했다. 온유하고 우직하며 균형 잡힌 품성 속에 숨겨진 카리스마가 있다. 동인이지만 당리당략에 크게 얽매이지 않았다.
: 조선 14대 왕. 방계 출신으로 왕위 계승 과정에 대한 콤플렉스가 있었다. 군사에 관심이 많고 당쟁을 잘 다스리려 했으나, 임진왜란을 맞아 왕으로서 자질을 끊임없이 시험받았다.

3. 2. 류성룡 주변 인물


  • 정태우[12] - 이천리 역: 왜구에게 죽을 뻔한 목숨을 류성룡이 구해준 뒤 거두어졌다. 이후 류성룡의 심복이 된다. 글은 모르나, 무예에는 재능이 있다.
  • 이관훈 - 신명철 역: 군관. 류성룡을 가까이에서 호위하며, 상황 판단이 빠르고 민첩하다.
  • 한지완 - 한설희 역: 내외주점[13]을 홀로 운영하는 여주인.
  • 한가림[14] - 동동 역: 설희의 계집종.
  • 정소영[15] - 인동 장씨 역: 류성룡의 부인.

3. 3. 왕실 인물


  • 김혜은 - 귀인 김씨 역 : 선조의 후궁. 우아한 몸가짐과 빼어난 외모로 선조의 총애를 받았다. 중전 박씨를 제치고 내명부의 실질적인 안주인이 되었다. 선조의 마음을 쥐락펴락하게 되자 자신의 아들로써 대통을 잇겠다는 야망을 품었다.[4]
  • 노영학 - 광해군 역 : 선조와 그의 후궁 공빈 김씨의 둘째 아들. 자신을 드러내지 않고 몸가짐이 신중했다. 아버지의 부끄러움마저 대신 짊어진 듯, 전쟁터에서 한 명의 백성이라도 더 구하기 위해 온몸을 던졌다. 전쟁을 겪으며 진정한 왕이 되길 결심했다.[4]
  • 황인영 - 의인왕후 박씨 역 : 선조의 비. 아이를 낳지 못하는 불임의 몸이었다. 선조는 그런 중전을 뒤로 하고 귀인 김씨만 싸고 돌았다. 왕비임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으로는 왕실에서 소외될 수 밖에 없었다. 광해를 양자로 삼아 친자식처럼 여기고 애정을 주었다.[4]
  • 윤홍빈 - 임해군 역 : 선조와 그의 후궁 공빈 김씨의 맏아들이며 광해의 친형이다. 성질이 난폭하여 인심을 얻지 못하였고, 그로 인하여 세자로 책봉되지 못했다. 임진왜란 때 동북 지방으로 피난 가서 가토에게 포로가 되었다가 석방되었다.[4]
  • 유승용 - 신성군 역 : 선조와 귀인 김씨 소생의 아들로 임해군광해군의 이복동생이자 신립의 사위이다. 임진왜란 와중에 피난을 가다가 죽게 된다.[4]
  • 김태용 - 순화군 역 : 선조와 순빈 김씨 소생의 아들이다. 임진왜란 때 이복형 임해군과 동북지방으로 피난을 갔지만 회령 아전 국경인과 백성들에게 붙잡혀 가토에게 포로가 되었다가 석방되었다.[4]
  • 김경하 - 하원군 역 : 덕흥대원군의 1남.[4]
  • 김대성 - 하릉군 역 : 덕흥대원군의 2남.[4]

3. 4. 동인


: 동인의 영수. 유연한 말투는 그 속내를 짐작하기 어렵다. 같은 동인의 중요인물인 류성룡을 지원하지만, 그를 적절히 통제하며, 이용한다. 임진왜란의 과정에서 선조를 호종하다가 탄핵을 받고 파직당한다.
: 류성룡의 지기이자 이산해의 사위다. 임진왜란 당시 청원사로 에 파견돼 파병을 성취시키는 등 전란 중 외교의 전반적인 일을 담당한다. 예리한 통찰력과 날카로운 판단력을 지녔다.
: 1590년 통신부사로 일본에 파견되었는데, 이듬해 돌아와 일본이 전쟁을 일으킬 기색이 보이지 않는다는 보고를 한 인물이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한양으로 압송을 하려다가 류성룡에 의해 목숨을 건져 경상도 초유사로 임명되었다.
: 동인의 원로. 기축옥사로 귀양을 가게 된다.
: 우의정 정언신의 형으로서 기축옥사로 귀양을 가게 된다.
: 동인 재야인사. 기축옥사 때 옥사한다.
: 선조의 후궁인 정빈 홍씨의 친척으로 왜란 전에 병조판서를 맡으면서 군량미를 챙긴 일로 좌천되었다. 후에 호조판서가 되어 류성룡을 탄핵하게 된다.
: 임진왜란 당시 왕을 호종하면서 평안도 도체찰사로 임명된 뒤 곧 평안도 관찰사 겸 순찰사로 승진해 이여송과 합세해 평양을 탈환하는데 기여했다.
: 도승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병조판서 겸 부체찰사로서 평안도로 피란가는 선조를 호종하다가 이조판서가 되어 환도한 뒤 우의정, 좌의정을 지낸다.
: 좌찬성. 임진왜란 당시 의주에서 올라와 선조를 호종하였고, 이후 분조를 따른다. 이순신이 탄핵을 받아 투옥되었을 때 그를 변호한다.
: 사재감정[21]. 1592년 세자익위사의 익위로 제수되어 세자[22]영변(현 녕변군)까지 모셨다.

3. 5. 서인


: 서인의 주요 인물이다. 선조가 열여섯에 즉위할 때부터 승정원에서 가장 가까이 보필했던 터라, 선조를 누구보다 잘 알고, 나이에 걸맞지 않은 중압감으로 살아온 선조를 항상 연민의 눈으로 바라본다. 대범하고 호탕한 성격이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기용되어 선조를 호종한다. 동생으로는 월정 윤근수가 있다.[23]
: 서인의 영수. 1589년 기축옥사를 계기로 선조의 마음을 사로잡아서 서인의 세상을 만들려고 한다. 호불호가 분명하고 직설적인 성격 탓에 늘 동인들의 집중 공격 대상이 되어 관직에서 종종 탄핵되거나 사직하곤 하였다. 뛰어난 문재(文才)로 인정받았다.
: 당색으로는 서인이지만 류성룡과도 절친한 사이이고, 권율의 사위이다. 시원스러운 성격에 해학적인 유머와 번뜩이는 기지가 있다. 임진왜란 당시 벗인 이덕형과 함께 병조판서를 교대로 맡으면서 근왕병 모집과 명에 대한 청병을 주도하였다.
: 서인의 정신적 지주 같은 인물. 당대의 “8문장가[24]”로 꼽힐 만큼 뛰어난 인재였으나 노비 출신이라는 한계에 그쳐 과거를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 송강 정철, 우계 성혼과 친교를 맺으며 실질적인 책략가 역할을 한 인물이다.
: 1589년 기축옥사로 서인이 정권을 잡자 이조참판에 등용되었다. 이이, 송강 정철, 구봉 송익필 등과 절친하였다. 서인의 중진 지도자이며 학문이 깊다.
: 임진왜란 전 통신사 정사로 파견되어 변화된 일본의 모습에 진작 내침을 감지하고, 귀국 후 일본 침략을 강력하게 경고하지만 묵살되고 만다.
: 강직하기가 대쪽 같다. 자리에 연연하지 않고, 설령 임금이라 하더라도 잘못하면, 부서지고 깨지더라도 상소를 올려 간언한다. 임진왜란 때 승병장 영규와 함께 호서에서 의병을 일으킨다.

3. 6. 조선의 무장

3. 7. 의병

3. 8. 일본

3. 9. 명나라


  • 장태성 - 만력제 역: 명나라 제13대 황제. 묘호는 신종(神宗)이다. 1572년부터 1620년까지 48년간 재위하였으며, 이는 명나라 황제들의 통치 기간 중 가장 길다. 명나라가 건국된 지 200년쯤 지나 왕조가 서서히 몰락해가는 시기였다.[4]
  • 서윤아 - 정귀비 역: 만력제의 애첩. 복충왕 주상순(후의 명 공종)의 모친으로, 복충왕을 태자로 옹립하려다 실패한다. 복충왕의 아들인 남명 초대 황제 홍광제는 정귀비의 손자이다.[5][6][4]
  • 강기성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EA%B3%A0%ED%9A%8C(%E9%AB%98%E6%B7%AE) 고회] 역: 명나라 환관. 만력제를 가까이서 수행한다.
  • 최일화 - 송응창 역: 명나라 병부우시랑. 임진왜란 당시 명나라 2차 원군의 총사령관인 경략방해비왜군무로 참전하였다. 심유경을 내세워 조선을 배제한 일본과의 강화협상을 시도하다 소환되었다.
  • 이기열 - 심유경 역: 무역상 출신의 명나라 사신. 달변가이며 일본어에 능통하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조선·일본·명 3국 사이에 강화회담을 맡아 진행하면서 농간을 부렸다.
  • 이원발 - 석성 역: 명나라 병부상서. 조선을 지원하는 척, 강화협상을 배후에서 벌이다가 만력제에 의해 옥에 갇히게 된다.
  • 김덕현 → 김명국 - 사헌 역: 명나라 예부 소속의 신하로서 병부상서 석성과는 라이벌. 사신으로서 조선에 들어와 송응창와 강화협상을 알아채고 그를 소환하기에 이른다.
  • 박성균 - 사용재 역: 명나라의 사신으로서 일본에 파견되었다.
  • 장훈 - 이종성 역: 명나라의 사신으로서 일본에 파견되었다.
  • 백신 - 양방형 역: 명나라의 사신으로서 일본에 파견되었다.
  • 김하균 - 양호 역: 경락. 정유재란 직후, 명에서 파견되었다.
  • 정흥채 - 이여송 역: 명나라 장수. 당시 요동의 실권자인 이성량의 아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제독군무방해어왜총병관으로 명나라의 제2차 원군 4만 3천의 병력을 이끌고 압록강을 건너 한반도에 들어왔다. 일본군을 상대로 평양성 전투에서 승전하였으나 벽제관 전투에서 패한 다음에는 싸울 생각을 하지 않아, 류성룡이항복, 이덕형 등은 이여송에게 일본군과 싸울 것을 재촉하였다.
  • 정동규 - 임세록 역: 명나라 요동도사사 진무. 류성룡과 함께 일본군 진영을 살피고, 조선에 원병을 지원하도록 협력한다.
  • 손호균 - 조승훈 역: 명나라 요동군 부총관. 명군 5,000여명을 이끌고 조선에 출병하였으나, 평양성 전투에서 대패하였다.
  • 김병국 - 오유충 역: 명나라 부총병.
  • 박선우 - 장세작 역: 명나라 부총병.
  • 공정환 - 낙상지 역: 명나라 참장. 조선의 신식군사훈련에 도움을 준다.
  • 강석원 - 사유 역: 명나라 유격장군.
  • 손선근 - 주균왕 역: 명나라 상인.
  • 정명준 - 해생 역: 명나라 서도독첨사.
  • 반상윤 - 마귀 역: 명나라 대장군.
  • 배도환 - 진린 역: 명나라 수군도독.
  • 정성일 - 진잠 역: 명나라 부총병.

4. 시청률

본방송 시청률은 평균 9.1%(TNmS 전국 기준)를 기록했다. 최고 시청률은 22회에서 기록한 13.8%(AGB 전국 기준)이다.[54]

2015년
회차방송일TNmS 시청률[50]AGB 시청률[54]
대한민국(전국)서울(수도권)대한민국(전국)서울(수도권)
제1회2월 14일8.2%8.2%10.5%9.8%
제2회2월 15일6.9%7.6%9.5%9.2%
제3회2월 21일7.7%8.6%9.8%8.9%
제4회2월 22일7.6%8.3%10.3%9.5%
제5회2월 28일8.1%8.8%8.7%8.0%
제6회3월 1일7.9%8.4%9.5%9.1%
제7회3월 7일7.4%7.7%10.5%10.9%
제8회3월 8일6.9%7.6%9.2%9.3%
제9회3월 14일8.7%9.0%10.7%10.9%
제10회3월 15일7.0%7.5%10.7%10.0%
제11회3월 21일7.6%7.7%9.7%9.2%
제12회3월 22일8.3%8.9%10.3%10.2%
제13회3월 28일10.0%10.9%10.9%11.0%
제14회3월 29일9.1%9.4%11.8%11.7%
제15회4월 4일9.4%8.8%11.0%10.7%
제16회4월 5일8.7%8.8%10.7%10.6%
제17회4월 11일9.4%9.1%11.2%11.4%
제18회4월 12일9.5%10.0%11.4%11.1%
제19회4월 18일10.0%9.1%12.3%12.3%
제20회4월 19일10.4%10.7%12.7%12.3%
제21회4월 25일9.4%9.2%12.3%11.6%
제22회4월 26일10.4%10.5%13.8%13.8%
제23회5월 2일11.1%12.3%12.4%12.3%
제24회5월 3일10.1%10.4%12.4%11.0%
제25회5월 9일10.8%10.7%11.7%11.4%
제26회5월 10일10.7%11.1%12.5%12.1%
제27회5월 16일9.1%9.2%10.5%10.6%
제28회5월 17일9.3%9.2%11.7%11.9%
제29회5월 23일9.4%9.6%10.5%10.5%
제30회5월 24일10.1%10.4%11.5%11.8%
제31회5월 30일9.2%9.0%11.3%11.3%
제32회5월 31일9.6%9.6%12.3%12.3%
제33회6월 6일9.3%9.1%12.1%12.1%
제34회6월 7일9.8%10.7%11.9%10.9%
제35회6월 13일9.9%9.2%11.2%11.2%
제36회6월 14일9.5%10.3%13.3%13.1%
제37회6월 20일7.2%7.8%10.3%10.9%
제38회6월 21일10.2%10.8%12.0%11.6%
제39회6월 27일9.3%9.8%12.6%12.7%
제40회6월 28일8.7%9.3%12.0%12.5%
제41회7월 4일9.1%9.9%11.3%11.8%
제42회7월 5일9.8%10.0%11.8%11.9%
제43회7월 11일9.4%9.3%10.9%10.4%
제44회7월 12일9.0%9.0%11.2%11.0%
제45회7월 18일8.7%9.0%10.4%10.1%
제46회7월 19일9.1%9.2%11.6%11.5%
제47회7월 25일9.4%9.7%11.1%10.5%
제48회7월 26일9.7%10.9%7.7%[51][52]7.2%
제49회8월 1일9.5%9.2%10.5%10.2%
제50회8월 2일10.1%10.1%12.3%12.2%
평균 시청률9.1%9.5%11.2%[53]11.0%



'''파란색 숫자'''는 '최저 시청률'이고, '''빨간색 숫자'''는 '최고 시청률'입니다. 시청률조사회사와 지역별로 시청률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5. 수상

연도시상식부문수상자결과
2015KBS 연기대상장편드라마 부문 남자 우수 연기상김태우수상
남자 조연상김규철수상
에이판 스타 어워즈장편드라마 부문 남자 최우수 연기상김상중수상


참조

[1] 웹사이트 kim-sang-joong-and-kim-tae-woo-offered-kbss-next-sageuk-epic https://www.dramabea[...] 2014-10-15
[2] 웹사이트 Jung Tae-woo to star in KBS historical "Jing Bi-rok" @ HanCinema :: The Korean Movie and Drama Database https://www.hancinem[...] 2021-03-28
[3] 웹사이트 KBS drama 'Jingbirok' offers lessons https://www.koreatim[...] 2015-02-09
[4] 웹사이트 "'징비록' 장태성-서윤아, 커플 대본 인증샷…'장난기 가득'" https://www.chosun.c[...] 2020-07-25
[5] 웹사이트 서윤아, '징비록' 명나라 황제 애첩으로 강렬한 첫 등장 https://www.ytn.co.k[...] 2015-03-09
[6] 웹사이트 배우 서윤아, '징비록' 합류 https://www.edaily.c[...] 2015-03-09
[7] 뉴스 '정도전' 다음은 '류성룡'..KBS, '징비록' 내년 1월 방송 http://star.mt.co.kr[...]
[8] 뉴스 조대현 KBS 사장 "'징비록'부터 대하드라마 블랙아웃 없앤다" https://news.naver.c[...]
[9] 뉴스 김상중·김태우 ‘징비록’은?…‘하늘이 내린 재상’과 ‘비운의 왕’ 그리다 http://news1.kr/arti[...] 뉴스1 2014-12-29
[10] 뉴스 KBS ‘징비록’ 작가 교체… 배경 관심 http://entertain.nav[...] 문화일보 2015-01-20
[11] 문서 전시의 최고군직
[12] 뉴스 정태우, '징비록' 합류..김상중 충신으로 연기호흡 https://news.naver.c[...]
[13] 문서 주인이 얼굴을 보이지 않는 술집
[14] 뉴스 한가림 ‘징비록’ 캐스팅, 유쾌 발랄 '동동 역' 뒤늦게 합류 http://www.stardaily[...]
[15] 뉴스 정소영, '징비록' 합류..김상중 아내 인동장씨役 https://news.naver.c[...]
[16] 문서 이전 문서에서는 대전내관, 윤환시 등으로 기재되어 있었으나, 시각장애인전용 방송과 다음에서는 이정봉이라고 나와있었다.
[17] 뉴스 ‘징비록’ PD “국난 어떻게 극복했는지 다룰 것” http://www.newsen.co[...]
[18] Youtube 150214 대하드라마 징비록 티저1 https://www.youtube.[...]
[19] 뉴스 남성진, '정도전' 이어 '징비록' 이덕형 캐스팅 http://news.nate.com[...]
[20] 뉴스 ‘징비록’ PD “국난 어떻게 극복했는지 다룰 것” http://www.newsen.co[...]
[21] 문서 1593년에 제수
[22] 문서 광해군
[23] 문서 지조가 있으며, 조정대신 중 중국어에 가장 능통하다. 임진왜란 때 명나라 사신으로 간다.
[24] 문서 조선 중기 팔문장계 : 이이, 송익필, 최립, 하응림, 최경창, 이달, 백광훈, 이산해
[25] 문서 충청, 경상, 전라도 군총사령관
[26] 문서 지방의 변란을 진압하기 위해 중앙에서 보내는 군사령관
[27] 문서 행주대첩
[28] 문서 경상감사
[29] 문서 정3품 절충장군
[30] 문서 경상좌도 병마절도사, 경상좌도(낙동강을 경계로 경상도의 우측 즉, 지금의 안동, 경주, 대구, 부산 일대)의 육군 사령부
[31] 문서 전라좌도 수군절도사.1593년 8월 이후 전라좌수사 및 삼도수군통제사겸임. 1593년 10월 통제사와 좌수사를 겸하라는 정식 제수(임명)교지를 받음
[32] 문서 경상우도 수군통제사
[33] 문서 경상좌도 병마절도사, 경상좌도(낙동강을 경계로 경상도의 우측 즉, 지금의 안동, 경주, 대구, 부산 일대)의 육군 사령부
[34] 뉴스 ‘징비록’ 3종 포스터, 블록버스터급 사극 탄생 예고 https://news.naver.c[...]
[35] 문서 당시 일본의 실질적인 최고 권력자, 1591년까지의 관직은 관백이었다
[36] 문서 2014년생 아역 배우
[37] 뉴스 ‘구가의 서’ 손가영, 이번엔 ‘징비록’ 요도役 캐스팅 http://www.newsen.co[...]
[38] 문서 친부 [[아자이 나가마사]](浅井長政 천정장정)는 오다니 성 전투([[:ja:小谷城の戦い|小谷城の戦い]])에서 기노시타 도키치로(木下藤吉郞 목하등길랑)에 의해 전사하였고 [[혼노지의 변]](本能寺の変)으로 인해 외백부 [[오다 노부나가]](織田信長 직전신장) 사후 양부 [[시바타 가쓰이에]](柴田勝家 시전승가)와 하시바 히데요시(羽柴秀吉 우시수길)의 권력 다툼인 [[시즈가타케 전투]](賤ヶ岳の戦い)에서 히데요시가 승기를 잡음으로서 가쓰이에와 모친 [[오이치노가타|이치]](市 )는 자결. 히데요시가 아자이 3자매인 자차(후의 요도), [[죠코인|하쓰]](후의 죠코인, [[교고쿠 다카쓰구]]의 부인), [[스겐인|고우]](후의 스겐인으로서 [[사지 가즈나리]], [[도요토미 히데카쓰]],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부인, [[에도 막부]] 초대 [[미다이도코로]]) 등을 거두고는 결국 자차를 제2정실로 들인다.
[39] 뉴스 김리우, ‘징비록’ 합류..도요토미 히데요시 양아들 역 http://osen.mt.co.kr[...]
[40] 뉴스 이광기 '징비록' 출연, 조선 침략한 日 장수役 http://news.tf.co.kr[...]
[41] 문서 조선측 장수:[[고언백]]
[42] 문서 실제 전투에선 선봉장 [[고바야카와 다카카게]]의 활약이 컸다.
[43] 뉴스 우현·이정용, '징비록' 캐스팅 확정 '명품 조연 합류' https://news.naver.c[...]
[44] 문서 2005년 [[불멸의 이순신]] 이후 10여년 만에 같은 배역을 하게 되었다.
[45] 문서 다이라 우지/헤이시
[46] 문서 실제로 고바야카와는 본국에 돌아와 병으로 사망한다.
[47] 문서 실제로 데루모토는 고바야카와랑 함께 임진왜란에 대한 공적으로 오대로 중 한명이 되었다.
[48] 문서 실제로 히데카쓰는 조선에서 병으로 죽는다.
[49] 뉴스 서윤아, '징비록' 명나라 황제 애첩 역으로 합류 https://news.naver.c[...]
[50] 웹사이트 TNmS 멀티미디어 홈페이지 http://www.tnms.tv/r[...]
[51] 문서 닐슨코리아가 2015년 7월 26일에는 KBS1 채널 전체 프로그램의 시청률을 모두 잘못 집계했다. 이에 대해 KBS측에서 강하게 이의 제기를 했고, 닐슨코리아는 이에 대해 오류를 인정하고 사과했지만 당일 자료가 폐기되 바로 잡지 못했다
[52] 뉴스 닐슨코리아 KBS1채널 및 징비록시청률 오류인정 http://osen.mt.co.kr[...]
[53] 문서 48회 시청률이 오류이므로 드라마 전체 평균시청률도 집계할 수 없다. 잘못된 기록인 48회를 포함해서 평균시청률울 집계하는 것은, 오류를 발생시키는데다 타 드라마하고도 형평에 어긋난다. 그렇다고 특정 횟수를 빼고 평균시청률을 집계할 수도 없다. 그러므로 이 드라마는 평균시청률울 내는 작업자체가 오류가 나올 수 밖에 없다.
[54] 웹인용 AGB닐슨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 http://www.agbnielse[...] 2015-02-08
[55] 문서 이산해의 10대손 [[이남규 (1855년)|수당 이남규]]의 기념관
[56] 문서 지금의 남산
[57] 문서 윤두수의 손자 윤경지의 사당
[58] 문서 윤두수의 동생 [[윤근수|월정 윤근수]]의 사당
[59] 문서 2012년 6월 12일, 임진왜란 공신 아홉 분을 모시기 위해 60년마다 치르는 행사
[60] 문서 백사 이항복의 사당
[61] 문서 한음 이덕형의 사당(영정각)
[62] 문서 [[관우]]를 모신 사당.
[63] 문서 [[만력제]]와 [[숭정제]]를 모시기 위한 사당.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